2010년 2월 3일 수요일

칼텍을 가다 (3) 칼텍에서의 첫 수업! CNS/Bi/EE 186

나와 내 후배는 Visiting Student Researcher 자격으로 온 것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업을 들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지도교수님의 소개로 지금 수행하고 있는 연구와 관련있는 분야의 수업에 참석할 기회를 갖게 되었다. 첫 수업이라 설레기도하고 이곳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어떤 점이 다를까를 볼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되어 기뻤다.

수업이 10:30분에 시작되는데, 10:30분에도 아직 나랑 후배를 포함하여 10명이 채 안되는 학생들이 강의실에 들어와있다. 수업 인원이 20명이 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교수님도 학생들도 별로 개의치 않는 듯이 보였다. 수업은 내내 토론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교수님이 질문을 하고 학생들은 대답을 하는 방식으로... 선행 지식이 있거나 혹은 예습을 하지 않고서는 전혀 토론에 참여할 수가 없었다. 물론 모든 학생들이 토론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 주로 4~5명 정도가 아주 능동적으로 토론에 참여하고 있었다. 일단 수업이 시작되면 토론으로 수업 내용을 전부 진행한 다음에, 교수님이 준비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를 넘기면서 수업 내용을 정리하는 방식이었다. 매우 효과적이고, 복습이 알아서 되는... 그리고 토론을 통해 앞으로 뭘 더 공부해야할지를 깨닫게 해주는 효과적인 수업 방식이었다.

우리나라와 크게 다른 점 한가지는, 수업이 학제연계적으로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는 내가 현재 참여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CNS: Computation and Neural Systems라는 학제융합적인 새로이 개설된 학과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학제융합적 학과가 개설되어도, 그 학과에 소속된 교수들이 개별적으로 수업을 개설하고 진행하는 것과 다르게, 그 학과와 연계된 다른 학과에서 교수들이 2~3명 참여하여 한 개의 수업을 공동으로 진행하는 수업이 개설되고 유지되고 있었다. 학과간의 벽이 높고, co-work이 잘 되지 않는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이러한 방식으로 각 학문별로 그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부터 배울 수 있고, 그것을 한 개의 커리큘럼으로 묶어서 진행하는 이러한 방식이 매우 맘에 들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